안녕하세요, 리눅스(Linux) 기본 강의 첫 번째입니다.
리눅스에 대해 위키백과를 인용하겠습니다.
[리눅스는 리누스 토르발스가 커뮤니티 주체로 개발한 컴퓨터 운영 체제이다. 혹은 커널(Kernel)을 뜻하기도 한다. 리눅스는 자유 소프트웨어와 오픈 소스 개발의 가장 유명한 표본으로 들 수 있다. 엄밀하게 따지면 이 '리눅스'라는 용어는 리눅스 커널만을 뜻하지만, 리눅스 커널과 GNU 프로젝트의 라이브러리와 도구들이 포함된 전체 운영 체제(GNU/리눅스라고도 알려진)를 나타내는 말로 흔히 쓰인다. 리눅스 배포판은 핵심 시스템 외에 대다수 소프트웨어를 포함한다. 현재 200여 종류가 넘는 배포판이 존재한다. 초기 리눅스는 개개인의 애호자들이 광범위하게 개발하였다. 이후 리눅스는 IBM, HP와 같은 거대 IT 기업의 후원을 받으며, 서버 분야에서 유닉스와 마이크로소프트 윈도우 운영 체제의 대안으로 자리 잡았다.]
본 강의에서 말하는 리눅스란 용어는 운영체제를 의미하며, 여러 배포판 중 우분투 버젼을 이용할 것 입니다.
대부분 가정이나 회사에서 사용하는 운영체제는 마이크로소프트의 윈도우가 존재하며, 현재 윈도우10이 배포되고 있습니다.
분명 윈도우 운영체제가 직관성이나 보편성에 있어 리눅스보다 편리합니다. 하지만 사용자가 비교적 제한된 권한을 가지고 있어 개발에 한계가 존재합니다.
리눅스는 윈도우보다 초기 진입 장벽이 높지만, 무료라는 점과 개발자에게 조금더 편리한 기능 및 권한을 준다는 점에 있어서 많은 개발자들이 리눅스를 개발 환경으로 이용합니다.
이러한 리눅스를 설치하기 위해서 몇가지 방법이 존재합니다.
그 중 대표적인 두 가지 방법으로는 데스크탑에 직접 리눅스를 설치하는 방법과 윈도우 운영체제 위에 가상의 환경을 만들어 설치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윈도우 운영체제 위에 가상의 환경을 만든다는 것은 특정 프로그램을 통하여, 가상의 컴퓨터 환경을 구성하고 그 환경에 리눅스를 설치하는 방법입니다.
이렇게 함으로써 개발자는 자신이 주로 쓰는 운영체제(윈도우)와 동시에 리눅스 개발 환경을 보다 쉽게 접근할 수 있습니다.
이번 강의에서는 이러한 가상 환경을 구축하기 위한 방법을 알아보겠습니다.
가상 환경을 구축하는 프로그램은 다양하지만, 무료로 이용할 수 있는 Virtual Box 프로그램을 이용하겠습니다.
구글(Google) 검색창에 'Virtual Box'를 입력하고 검색합니다.
https://www.virtualbox.org/에 접속합니다. (2018.09.16. 기준)
Download VirtualBox 5.2를 좌클릭합니다. (2018.09.16 기준)
VirtualBox 5.2.18 platform packages 중 자신이 사용하고 있는 운영체제를 선택합니다.
현재 윈도우 운영체제를 사용하는 분은 Windows hosts를 클릭해줍니다.
다운로드가 시작되고 다운완료된 파일을 실행합니다.
'Next' 버튼을 클릭하시고,
또 'Netx'를 클릭합니다.
필요한 것들을 선택하고, 'Next' 클릭.
'Yes'를 선택합니다.
'Install'을 눌러줍니다.
몇가지 권한 및 설정 창이 나오면 '예' 혹은 '설치'를 눌러줍니다.
설치 완료 및 실행을 해봅시다.
Virtual Box의 메인 화면입니다.
이제 Linux 운영체제, 그 중 우분투 배포판을 설치하기 위한 가상 환경을 설정해줍시다.
Virtual Box의 '새로 만들기(N)'을 눌러주시면 새로운 창이 생깁니다.
만들고자 하는 가상 환경의 '이름(N)'을 작성해주시고, '종류(T)'에서 'Linux', '버전(V)'에서 'Ubuntu (64-bit)'를 선택해주세요.
이 때 작성되는 이름은 이후에 설치되는 운영체제에 영향을 주지 않으며, 언제든 수정 가능합니다.
사용자의 컴퓨터 사양에 따라 할당할 수 있는 메모리 크기가 다릅니다.
현재 글을 작성하고 있는 제 컴퓨터 사양은 4096MB(약 4GB)이기 때문에, 추천 메모리 크기는 1024MB입니다.
하지만 안정권인 2048MB(약 2GB)까지 할당하겠습니다.
보통 가상환경을 구축하는 환경의 램은 8GB 이상, 가상환경은 4GB 이상을 추천합니다.
가상환경에 할당할 하드 디스크 크기입니다.
대부분 가상 하드 디스크가 필요하기 때문에 '지금 새 가상 하드 디스크 만들기(C)'를 선택합니다.
'VDI'를 선택해주고 '다음'을 누릅니다.
'동적 할당(D)'은 최소 용량부터 지정한 최대 크기까지 자동적으로 커집니다.
하지만 '고정 크기(F)'는 지정한 최대 크기로 시작합니다.
저는 효율적인 디스크 크기 조정을 위해 '동적 할당(D)'을 선택합니다.
저는 데이터의 최대 크기를 10GB로 지정하였습니다.
'만들기'를 눌러 가상환경 구축을 마칩니다.
새롭게 만들어진 가상환경이 목록에 나타났습니다.
우클릭 후 설정(S)을 선택합니다.
다음과 같은 창이 생깁니다.
상단의 '고급(A)' 탭을 선택해, '클립보드 공유(S)'와 '드래그 앤 드롭(D)'을 다음과 같이 설정합니다.
왼쪽 탭 메뉴 중에 '시스템'을 선택하여, '프로세서' 탭을 선택 후 '프로세서의 개수(P)'를 알맞게 조정해줍니다.
'확인'을 눌러 리눅스 우분투 운영체제를 설치하기 위한 가상환경을 만들고 설정까지 완료합니다.
다음 강의에서는 실제 우분투를 이 가상환경에 설치하는 과정을 설명하겠습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