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C 프로그래밍 언어 여덟번째 강의입니다.

오늘은 지난 시간에 소개하다가 넘어간 자료형에 대해 아주 짤막한 소개를 하겠습니다.

자료형(Data Type) 이야기만 두 장의 챕터가 필요하기 때문에 추후에 반드시 설명하겠습니다.



변수를 선언하기 위한 자료형은 크게 두가지로 나뉩니다.


정수형 변수란 말 그대로 정수(Integer)를 저장 혹은 처리하기 위한 변수입니다.

예를 들어, 숫자 15, 20, -15와 같은 숫자를 처리하기 적합한 변수입니다.


실수형 변수란 실수를 저장 혹은 처리하기 위한 변수입니다.

예를 들어, 숫자 3.131592, -2.44, 912.42와 같은 소수점이하가 존재하는 숫자를 처리하기 적합한 변수입니다.



이러한 정수형, 실수형 변수를 구분해서 선언하기 위해서는 각기 다른 자료형을 이용해야합니다.


정수형 변수를 선언하기 위한 자료형은 char, short, int, long과 같은 자료형이 있습니다.

지난 시간에 사용한 자료형은 int 자료형이였습니다.


실수형 변수를 선언하기 위한 자료형은 float, double과 같은 자료형이 있습니다.


각각 상황에 따라 알맞은 자료형을 선택하면 됩니다.

자료형의 차이점에 대해서는 추후에 반드시 설명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그 때 다시 각각의 차이점에 대해서 정확히 설명하고 알맞은 사용시기를 알려드리겠습니다. 



한번 실습 프로그래밍을 해볼까요.

일단 배껴쓰기를 해보세요.

쓰다보면 지난 Chpater 7에서 배운 변수의 선언과 초기화를 복습할 수 있습니다.

Chapter 6에서 배운 printf 함수의 전달인자와 서식 지정자를 한번더 확인할 수 있습니다.

printf 함수는 아직 덜 이해가 가셔도 좋습니다. 어떠한 모양을 하고 있는지 확인해주시길 바랍니다.



'ctrl + F5'를 눌러주시면 위와같이 결과 화면이 뜹니다.

변수의 값을 임의로 바꾸어가며 숙달해보세요.


'Computer Science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10. 연산자 실습  (0) 2018.04.18
Chapter 9. 연산자  (0) 2018.04.13
Chapter 7. 변수의 선언  (0) 2018.04.12
Chapter 6_1. 과제  (0) 2018.04.05
Chapter 6. printf 함수  (0) 2018.04.05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