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C 프로그래밍 언어 여섯번째 강의입니다.

오늘은 Chapter 4에서 잠깐 다루었던 printf 함수를 조금더 깊이 살펴보겠습니다.


오늘도 내용을 100% 이해하실 필요는 없습니다.

어떠한 단어가 사용되지는, 실제 결과값은 무엇인지만 생각해보는 시간이 되세요.



지난 시간에 이어, Hello.c 소스파일을 열어서 위와 같이 코드를 작성해봅시다.



'ctr+F5' 이용해 실행시킨다면 위와 같은 결과화면이 보입니다.

분명 printf 함수에 %d를 입력하였으나, 전혀 다른 출력물이 보이네요.

왜 그럴까요?



서식 지정자란 컴퓨터에게 데이터를 어떠한 형식으로 출력할 것인가 알려주는 역할을 합니다.

엄연히 정확한 정의는 아니지만, printf 함수에서 이해를 돕기 위한 정의입니다.

자세한 정의는 추후에 다시 하도록 하겠습니다.


일단 여러가지 서식 지정자가 있으며, 각각 다른 출력 형태를 의미하는 것을 알아둡시다.

그 중 %d란 부호가 있는 정수 데이터를 출력할 때 쓰이는 서식 지정자입니다.



전달인자란 함수를 호출할 때 전달되는 실제 값들입니다.

함수의 정의를 기억하시나요. 입력값과 출력값이 존재하였습니다.

여기서 입력값은 항상 하나일 필요는 없습니다.

함수가 어떤 식으로 정의가 되었느냐에 따라 입력값은 두 개 이상일 수 있습니다.

실제로 입력되어 함수로 전달되는 값들을 우리는 전달인자라 부릅니다. 



이제 위에서 우리가 만들었던 소스 코드를 다시 살펴보겠습니다.

가장 첫 번째 printf 함수입니다.

""를 이용하여 printf 함수에게 하나의 전달인자를 전달하였습니다.

printf 함수는 자신이 받은 첫 번째 전달인자를 해석하고 결과화면에 출력합니다.

이것은 헤더함수 'stdio.h'에서 정의된 printf 함수의 약속입니다.



두 번째 printf 함수입니다.

""를 이용하여 printf 함수에게 첫 번째 전달인자를 전달하였습니다.

printf 함수는 자신이 받은 첫 번째 전달인자를 해석합니다.

 


이 때 printf 함수는 첫 번재 전달인자에 %d라는 서식 지정자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렇다면 printf 함수는 자신에게 정해진 약속에 따라, 두 번째 전달인자를 찾습니다.

두 번째 전달인자는 첫 번째 전달인자 뒤 쉼표(,) 다음에 나타나기로 약속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printf 함수는 서식 지정자를 해석하고 두 번째 전달인자를 해당 자리에 넣어 결과화면에 출력합니다.



세 번째 printf 함수입니다.

""를 이용하여 printf 함수에게 첫 번째 전달인자를 전달하였습니다.

printf 함수는 자신이 받은 첫 번째 전달인자를 해석합니다.



이 때 printf 함수는 첫 번재 전달인자에 %d라는 두 개의 서식 지정자가 있다는 것을 알게 됩니다.

그렇다면 printf 함수는 자신에게 정해진 약속에 따라, 두 번째 전달인자를 찾습니다.

두 번째 전달인자는 첫 번째 전달인자 뒤 쉼표(,) 다음에 나타나기로 약속되어 있습니다.

따라서 printf 함수는 첫 번째 서식 지정자를 해석하고 두 번째 전달인자를 해당 자리에 넣어 결과화면에 출력합니다.

마찬가지로 printf 함수는 두 번째 서식 지정자를 해석하고 세 번째 전달인자를 해당 자리에 넣어 결과화면에 출력합니다. 


printf 함수에 대한 이해가 어느정도 되었나요?

갑작스레 서식 지정자와 전달인자에 대해 새롭게 나와 당황하셨나요.

괜찮습니다.


모두 100% 이해하실 필요가 없습니다.

다른 단어들과 함께 천천히 공부해 나가신다면 점점 그 의미를 또렷하게 아시게 될겁니다.

읽어보만 보시지말고 직접 손수 코드를 작성해보시고 결과물을 확인해보세요!

'Computer Science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7. 변수의 선언  (0) 2018.04.12
Chapter 6_1. 과제  (0) 2018.04.05
Chapter 5. 주석 달기  (0) 2018.04.05
Chapter 4_1. 과제  (0) 2018.04.05
Chapter 4. Hello, C world ! 살펴보기  (0) 2018.04.03



안녕하세요, C 프로그래밍 언어 다섯번째 강의입니다.

오늘은 프로그래밍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반드시 필요한 주석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주석이란 코멘트라고도 불립니다.

주석은 프로그램 작성자가 직접 소스 코드에 대한 설명을 메모하는 것입니다.

이는 제 3자가 소스 코드를 더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만드는 것이 주 목적입니다.

이뿐만 아니라 재밌게도 시간이 조금만 지나도 자기 자신이 만들었던 소스 코드도 그 의도를 잊어먹기 쉽습니다.

시간이 지나 미래의 자신에게 자신이 만든 소스 코드를 설명하는 것도 목적 중 하나입니다.



C언어에서 주석을 다는 방법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한 줄 주석은 //으로 시작하여, 작성자가 엔터(Enter)를 입력할 때까지를 주석으로 인식하고 컴파일러는 // 뒷 문자열을 무시합니다.

여러 줄 주석은 /*으로 시작하여, */이 나올때까지를 주석으로 인식하고 컴파일러는 그 가운데 모든 문자열을 무시합니다.



이전까지 말들었던 Hello.c에 주석처리를 해봅시다.

주석을 달때에는 가능한 자세하게 세밀하게 쓰는것이 좋습니다.


다시 한번 주석에 대한 중요성을 말씀드리고, 오늘 강의는 여기까지입니다.


'Computer Science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6_1. 과제  (0) 2018.04.05
Chapter 6. printf 함수  (0) 2018.04.05
Chapter 4_1. 과제  (0) 2018.04.05
Chapter 4. Hello, C world ! 살펴보기  (0) 2018.04.03
Chapter 3. 프로젝트 생성하기  (0) 2018.04.02


안녕하세요, C 프로그래밍 언어 네번째 강의의 과제입니다.

오늘은 네번째 강의에서 배운 것을 복습해보겠습니다.


printf 함수를 한번만 이용하여, 아래와 같은 출력화면을 만들어보세요.

그리고, 자신의 이름과 전화번호, 주소를 printf 함수를 세번 이용하여 나타내어 보세요.



# 과제의 정답은 다른 게시판에 업로드 하겠습니다.

'Computer Science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6. printf 함수  (0) 2018.04.05
Chapter 5. 주석 달기  (0) 2018.04.05
Chapter 4. Hello, C world ! 살펴보기  (0) 2018.04.03
Chapter 3. 프로젝트 생성하기  (0) 2018.04.02
Chapter 2. IDE 설치하기  (0) 2018.04.01


안녕하세요, C 프로그래밍 언어 네번째 강의입니다.

오늘은 세번째 강의에서 실행보았던 Hello.c 파일을 살펴보겠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를 학습하기 위해서는 기본적인 용어들을 알아야하는데요.

이번 시간에는 기본 용어에 대한 간략한 소개를 하겠습니다.


물론 어떤 단어를 설명하기 위해, 또다른 어려운 단어를 사용해야할 때가 있습니다.

그럴때에는 이해를 못하여도 좋습니다.

이번 강의는 '프로그램은 이런 구성이구나'까지만 생각해도 좋습니다.



지난 시간에 작성을 완료했던 Hello.c 소스 파일입니다.



프로그래밍은 함수에서 시작해서 함수로 끝납니다.

크고 복잡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수많은 작은 함수들을 이용해야합니다.

기본적으로 사람은 완벽한 천재가 아니기 때문에, 복잡한 문제를 하나의 함수로 해결하지 못합니다.

그렇기에 "Divide and Conquer"라는 말이 프로그래밍의 기초가 되었습니다.


해결하고자하는 문제를 수많은 함수로 쪼개여 문제를 풀어나갑니다.


함수란 중고등학교 수학 시간에 배웠듯이, x라는 입력(Input)이 주어지고 일련의 과정을 거쳐 y라는 출력(Output)이 생성됩니다.

물론 프로그래밍에서의 함수에는 입력과 출력이 존재하지 않을 수 있지만, 우선 기본적인 이해도를 위해 설명하겠습니다.


함수란 음료수 자판기와 같습니다. 자판기에 동전을 넣으면, 우리는 볼수 없지만 자판기 내부에서 여러가지 과정을 거쳐 결국 우리가 원하는 음료수를 내보냅니다.

따라서 우리는 얼마나 자판기, 즉 함수를 이용하느냐는 프로그램을 잘 구현하는가에 대한 문제와 이어집니다.



Hello.c 소스 파일을 살펴볼까요.

'int main(void)'를 찾으셨나요?

여기서 'main'이란 함수의 이름을 나타내고, 이 함수를 'main함수'라고 부를 수 있습니다.

함수이름 앞에 존재하는 것은 해당 함수의 출력형태입니다.

'main함수'의 출력형태는 'int'라는 것입니다.

지금은 'int'가 무엇인지 아직 알 필요가 없습니다.

그리고 함수이름 뒤 소괄호 안에 있는 것이 입력형태입니다.

'main함수'의 입력형태는 'void'라는 것입니다.

물론 'void'가 무엇인지 아직 알 필요가 없습니다.


어렵지요? 다음 슬라이드 보겠습니다.



함수를 구성하는 요소, 출력형태, 함수이름, 입력형태 이외에 마지막으로 함수의 몸체가 있습니다.

'{', '}'와 같은 중괄호는 함수 몸체의 시작과 끝을 나타냅니다.


**함수는 출력형태 함수이름(입력형태) 함수의 몸체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함수의 몸체는 반드시 중괄호 '{', '}'로 시작과 끝을 나타냅니다. **



함수의 몸체 내부를 살펴보겠습니다.

C언어에서는 각 문장의 마지막은 세미클론 ';'으로 끝나야합니다.

한 행이 끝났음을 나타냅니다.

반드시 한 문장이 끝났다면, 곧바로 엔터(Enter)가 아닌 세미클론을 작성하시고 줄바꿈을 하세요.



다시 Hello.c 소스파일을 들여다보시면, main함수 상단에 #include <stdio.h>라는 문장이 있습니다.

이것이 바로 헤더파일인데요. #include라는 것은 뒤에 나오는 헤더파일을 불러오겠다고 선언을 하는 것입니다.

그렇다면 헤더파일이란 무엇일까요?



간단하게, 헤더파일이란 컴파일러(Visual Studio)가 자주 사용되는 기본적인 함수들을 모아둔 소스파일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는 프로그래밍을 쉽게 하기 위해서 미리 만들어진 함수를 헤더파일을 불러와 사용하는 것입니다.



연 이어서, main함수의 몸체를 살펴볼까요?

printf("Hello, C world ! \n"); 라는 문장이 있네요.

'printf'도 위에서 설명하였던 함수의 일종입니다.

하지만 우리는 'printf'라는 함수를 만들지 않았는데 어떻게 사용했을까요.



'printf'와 같은 함수를 우리는 표준함수라고 부릅니다.

다시 언급하면,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함수 중 하나입니다.

그렇다면 이 함수는 도대체 어디서 왔을까요?



'printf' 함수를 오른쪽 클릭해보세요.

그리고 '정의로 이동(G)'를 선택하세요.

새로운 소스파일 생겼습니다.

우측 상단을 보시면 stdio.h라는 소스파일이 뜨고 printf라는 함수가 보입니다.


방금 전에 설명했던 헤더파일이 생각나시나요?

우리는 Hello.c 소스파일 가장 처음에 #include <stdio.h>라는 헤더파일 선언을 통해 컴파일러에서 기본적으로 제공하는 헤더파일, 'stdio.h'를 불러왔습니다.

그리고 우리가 새롭게 정의한 함수 main함수 몸체에 'printf'라는 표준함수를 사용하였습니다.

'printf'라는 표준함수는 'stdio.h'에서 이미 정의된 함수였습니다.

따라서 우리는 'printf'라는 함수를 직접 정의하지 않고도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당연하게도, 헤더파일 선언을 하지 않았다면 우리는 'printf'라는 함수를 사용하지 못했을겁니다.


다시 Hello.c 소스파일로 돌아가기 위해 좌측 상단의 'Hello.c'를 눌러주세요. 



앞으로 자주 사용하게될 'printf' 함수를 살펴보겠습니다.

출력(print)와 함수(function)의 복합어인 'printf'는 말 그대로 문자를 출력하는 함수입니다.

'printf' 함수 뒤의 소괄호 안에 ""안에 자신이 원하는 글귀를 넣으면 출력이 가능합니다.



만약 '\n' 대신에 'n'을 넣는다면 어떻게 될까요?

그렇다면 출력은 'Hello, C world ! n'이 되겠죠.

""안에 자신이 원하는 수식을 넣기 위해서는 역슬래시(\)를 넣어야합니다.

'\n' 은 'printf' 함수 내에서 줄바꿈을 의미합니다.

우리는 이러한 문장 내 명령어를 이스케이프 시퀀스라고 명합니다.



마지막으로 main함수 몸체의 'return 0'에 관한 이야기 입니다.

우리는 이를 반환문이라고 말하는데, 이와 관련한 이야기는 추후에 다시 말씀드리겠습니다.


아직은 배워야할 단어들과 문법이 많습니다.

모든 단어가 개별적으로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얼기설기 얽혀있습니다.

따라서 특정 단어만 이해할 수 없고, 포괄적인 이해가 필요하기 때문에 시간이 걸릴 수 있습니다.


하지만 반복으로 보다보면 눈에 익게 되면서 자연스레 단어의 의미를 체감하시게 될 것입니다.


오늘 강의 중에 많은 부분 이해 못하셨을거라고 예상합니다.

하지만 몇 강의가 지난다면 오늘 나온 설명뿐만 아니라 더 깊은 이해도를 가질 것이라고 예상 또한 합니다.


오늘 이론 부분은 수고많으셨습니다.


'Computer Science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5. 주석 달기  (0) 2018.04.05
Chapter 4_1. 과제  (0) 2018.04.05
Chapter 3. 프로젝트 생성하기  (0) 2018.04.02
Chapter 2. IDE 설치하기  (0) 2018.04.01
Chapter 1. C 언어란  (0) 2018.03.31


안녕하세요, C 프로그래밍 언어 세번째 강의입니다.

오늘은 프로젝트를 생성하고, 소스파일을 만들어 실행해보겠습니다.

아주 간단하고 쉬운 작업이지만, 모든 프로그래밍의 시작입니다.


잘 따라오시길 바랍니다.



Chapter 2에서 설명해드렸듯이 저희는 개발을 보다 쉽게하기 위해서 통합 개발 환경(IDE)를 사용합니다.

해당 강의의 모든 프로그래밍 실습은 비주얼 스튜디오 2017를 통해 이루어집니다.



지난 Chapter 2에서 설치한 비주얼 스튜디오 2017의 화면입니다.




좌측 상단의 '파일' 메뉴를 눌러주세요.



'새로 만들기(N)' 버튼을 눌러주시고, '프로젝트(P)...'를 선택해주세요.



'새 프로젝트'라는 새로운 창이 생겼습니다. 좌측 목록 중에 'Windows 데스크톱'을 선택해주세요.



좌측 목록 'Windows 데스크톱'을 선택해주시면 중앙의 선택지가 변합니다.

'Windows 데스크톱 마법사'를 선택해주세요.



선택을 하셨다면 하단의 '이름(N)'이 Project1으로 바뀜을 알 수 있습니다.



'이름(N)' 부분에 원하시는 프로젝트 명을 입력하세요.

저는 Practice 라고 명했습니다. 그리고 '확인' 버튼을 눌러주세요.



새로운 창이 생겼습니다.

중앙의 '빈 프로젝트(E)' 를 체크 표시해주세요.

글자 앞의 빈 박스를 선택하세요.



위와 같이 선택이 되셨으면 '확인'을 선택하세요.



자, 여기까지 프로젝트를 생성해보았습니다.

이제 소스파일을 생성하겠습니다.

우측 메뉴 중에 '소스 파일'이라는 항목을 오른쪽 클릭해주세요.



'소스 파일' 항목을 오른쪽 클릭하시고 '추가(D)'를 선택하세요.

그리고 '새 항목(W)를 선택하세요.




새로운 창이 생겼습니다.

중앙의 목록에서 'C++ 파일(cpp)'을 선택하세요.

현재 하단의 '이름(N)'은 소스.cpp로 되어있을겁니다. 


**파일명을 반드시 Hello.c 로 바꾸어주세요.**


Chapter 1에서 설명하였던 여러 종류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기억하시나요?

그중 C++이라는 언어가 C와 별개로 존재했습니다.

이 둘은 엄연히 다른 언어임으로 서로 다른 규칙을 가지고 있습니다.

현재 설정은 C++이 기본으로 설정이 되어있기 때문에, 이번 C언어 강의에서는 C언어를 위한 소스파일을 만들어야합니다.

C언어를 위한 소스파일은 '파일명.c'으로 파일 이름 뒤에 점(.)과 c를 반드시 붙여서 생성해야합니다.



**파일명을 반드시 Hello.c 로 바꾸어주세요.**

앞으로 C언어 강의에서의 실습 소스 파일은 동일한 규칙으로 파일 이름 뒤에서 .c를 붙여주세요.



자, 그러면 비주얼 스튜디오의 텍스트 편집기가 생성 되었습니다.



이곳에서 사용자는 직접 언어를 입력하여 프로그래밍을 시작할 수 있습니다.



그러면 프로그램을 작성해볼까요?

하지만 아직 배운것이 없습니다.

프로그래밍을 배울때에 가장 기본은 배껴쓰기입니다.


아직은 많은 각 단어가 무엇을 의미하는 지, 어떤 동작을 하지는 전혀 이해하지 못해도 됩니다.

일단은 따라 써보고 천천히 이해하는 것이 프로그래밍 학습에 가장 큰 지름길입니다.


영어를 전혀 몰라도, PPT의 내용이 무슨 말인지 전혀 몰라도 됩니다.

일단 따라서 써보세요.


(5번째 줄의 '\' 표시는 한글 키보드에서의 '\'입니다.

한글전용 폰트에서는 원화표시(\)가 나오며, 영문전용 폰트에서는 역슬래시(\)가 나옵니다.

둘다 같은 기능을 하기때문에 상관없습니다.)


7줄을 모두 작성하셨으면, 'Ctrl + S'를 눌러 저장해주세요.



이제 프로그램을 실행해 볼까요. 상단의 '디버그(D)'를 선택해서, '디버그하지 않고 시작(H)'를 눌러주세요.

혹은 'Ctrl + F5'를 눌러주세요.



짜잔.

드디어 첫 프로그램을 만드셨습니다.


아직은 화면에 'Hello, C world !' 라는 문장밖에 출력하지 못하였으나, 이것이 모든 프로그래밍의 기초라는 거 알아두세요!

고생하셨습니다.


'Computer Science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5. 주석 달기  (0) 2018.04.05
Chapter 4_1. 과제  (0) 2018.04.05
Chapter 4. Hello, C world ! 살펴보기  (0) 2018.04.03
Chapter 2. IDE 설치하기  (0) 2018.04.01
Chapter 1. C 언어란  (0) 2018.03.31


안녕하세요, C 프로그래밍 언어 두번째 강의입니다.

오늘은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한 환경을 만들겠습니다.

앞으로 프로그래밍 실습을 하기위한 필수적인 단계가 되겠습니다.




통합 개발 환경, IDE란 프로그램 개발에 관련된 모든 작업을 단 하나의 프로그램에서 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말합니다.

전에는 프로그래밍 언어를 입력하는 프로그램,

그것을 컴파일(Compile)해주는 프로그램,

디버거(debugger)해주는 프로그램 등등 프로그램을 만들기 위해서는 많은 개발 프로그램들이 필요했습니다.


하지만 편의를 위해 이들을 하나로 묶어 제공하는 것을 통합 개발 환경이라고 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에도 다양한 종류가 존재하듯이 통합 개발 환경, IDE도 많은 종류가 존재합니다.


그 중 C언어를 공부하는 입문자에게 가장 편리하고 무료로 구할 수 있는 통합 개발 환경은 마이크로소프트의 비주얼 스튜디오(Visual Studio)입니다.

마이크로소프트(Microsoft)에서 일반 사용자들에게 무료로 배포하는 비주얼 스튜디오는 윈도우에서 지원하는 거의 모든 프로그램을 만들 수 있습니다.

이 뿐만 아니라, 이미 전세계 많은 사람들이 이 프로그램을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추후에 정보를 얻기도 편합니다.


그렇다면 이젠 비주얼 스튜디오를 설치하겠습니다.



구글 검색창에 'visual studio'를 입력해주시고, https://www.visualstudio.com/ 에 접속해주세요.



PPT와 같은 화면이 나온다면 왼쪽 화면의 'Windows 용 다운로드'를 클릭해주세요.



'Community 2017'를 클릭해주세요.



화면이 전환이 되고, 설치파일을 저장해주세요.



저장된 폴더로 들어가, 설치를 진행해주세요.



설치 준비 중 입니다.



수십 초의 시간이 지나면..



설치 준비가 끝나고 위와 같은 화면이 뜹니다.

저희는 많은 프로그램이 필요하지 않고 C언어를 학습하기 때문에 'Windows 항목' 중 'C++를 사용한 데스크탑 개발' 항목을 선택해주세요.



PPT 그림과 같이 체크표시해주세요.



그리고 오른쪽 아래 '설치'를 누르시면, 설치가 진행됩니다.



설치가 완료되면, 새로운 창이 뜹니다.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있다면 입력해주세요.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이 없다면 가입 후 입력하여도 좋습니다.

혹시 계정도 없고, 가입하기 싫으신 분들은 '나중에 로그인'을 눌러주세요.


색 테마 선택에서 저는 '어둡게'를 선택하였습니다.

자주 화면을 보아야하는 입장에서 어두운 계열의 테마는 눈을 덜 자극합니다.

테마는 개발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으니, 개인의 취향에 따라 선택해주세요.


'Visual Studio 시작'을 눌러주세요.



이제 모두 완료하였습니다.

이대로 개발을 시작하여도 좋지만, 저는 글꼴마저 바꾸겠습니다.



상단의 메뉴 중 '도구'를 누르고, '옵션'을 누릅니다.



새로운 창이 뜹니다.

'글꼴 및 색'을 눌러줍니다.



대표적인 개발자 폰트 중 하나인 'Consolas'를 선택해주시고, '확인'을 눌러줍니다.



자, 이제 모든 설치를 완료하고, 다음 장에서는 본격적으로 개발을 시작하겠습니다.


'Computer Science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5. 주석 달기  (0) 2018.04.05
Chapter 4_1. 과제  (0) 2018.04.05
Chapter 4. Hello, C world ! 살펴보기  (0) 2018.04.03
Chapter 3. 프로젝트 생성하기  (0) 2018.04.02
Chapter 1. C 언어란  (0) 2018.03.31


안녕하세요, C 프로그래밍 언어 첫 강의입니다.

오늘은 프로그래밍 언어가 무엇인지, C 프로그래밍 언어란 무엇인지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프로그래밍 언어(Programming Language)란, 컴퓨터와 사람이 대화를 할 수 있는 여러 수단 중 하나입니다.


컴퓨터는 기본적으로 기계어로 동작이 됩니다.

기계어란 0과 1로 이루어진 언어를 말하며, 컴퓨터가 직접 읽을 수 있습니다.

하지만 사람의 입장에서 기계어를 이해하기 어렵고 컴퓨터 구조에 대한 충분한 지식이 없다면 기게어를 직접 사용하기 힘듭니다.


프로그래밍 언어란, 사람이 컴파일러를 이용하여 컴퓨터와 대화할 수 있는 하나의 수단입니다.

컴파일러에 대한 자세한 이야기는 추후에 하도록 하겠습니다.

지금은 컴파일러는 사람과 컴퓨터 사이에서 둘의 언어(프로그래밍 언어와 기계어)를 번역해주는 매개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프로그래밍 언어 덕분에 사람들은 기계어를 직접 배우지 않아도, 인간의 언어와 가까운 프로그래밍 언어를 통해 컴퓨터와 대화가 가능해졌습니다.



인간의 언어(한국어, 영어, 중국어, 독일어 등등)가 다양하듯이 프로그래밍 언어 또한 매우 다양합니다.

그 중 대표적인 프로그래밍 언어로써 JAVA(자바), C(씨), Python(파이썬)이 있습니다.

PPT의 프로그래밍 언어 순서는 현재 세계에서 가장 많이 쓰이는 프로그래밍 언어 순서입니다.


한국어와 영어가 각기 다른 장점과 단점을 가졌듯이, 모든 프로그래밍 언어는 각기 다른 장단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그중에서 우리가 배우게 될 C언어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PPT에 나온 C언어의 장점들은 사실 다른 인기 프로그래밍 언어에도 적용이 가능합니다.

하지만 몇몇 구 시대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소수의 프로그래밍 언어와 비교하였을 때에 큰 특징을 가집니다.

이식성이란 어떠한 종류의 컴퓨터여도 C언어로 작성된 프로그램이 원할히 작동 가능함을 말합니다.

절차지향적 언어이란 '순서'가 정해져 있는 언어입니다.

사용자가 A, B, C 라는 명령을 순서대로 지시하였다면, C언어는 변칙없이 A, B, C 순서대로 명령을 이행할 것입니다.

이는 처음 프로그래밍을 접하는 사용자에게 혼란을 가져다 주지 않습니다.


이러한 장점으로 많은 프로그래밍 입문자들이 C언어를 선택하고 학습합니다.



간략한 C 프로그래밍 언어(C 언어)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마지막으로 앞으로 하게 될 프로그램 실습에 대해 간략하게 보여드리겠습니다.


프로그래밍은 수정의 연속입니다. 특히 첫 입문자들은 프로그램 작성시 매번 실수를 할것입니다.

만약 프로그램 작성시 사용자가 실수한 곳이 있다면 컴파일러는 기계어로 번역을 할 수 없습니다.

이 때마다 컴파일러는 오류 문구를 보낼 것이고, 매번 사용자는 자신의 프로그램을 수정하고 수정해야합니다.

원인모를 오류에 지겹고 화나는 과정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이 과정 자체가 배움으로 연결되어 보다 높은 수준의 프로그래밍으로 도달할 수 있습니다.


**끈기와 인내를 가지고 끝까지 완주해봅시다.**



# PPT 자료는 다른 게시판에 업로드 하겠습니다.


'Computer Science > C'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apter 5. 주석 달기  (0) 2018.04.05
Chapter 4_1. 과제  (0) 2018.04.05
Chapter 4. Hello, C world ! 살펴보기  (0) 2018.04.03
Chapter 3. 프로젝트 생성하기  (0) 2018.04.02
Chapter 2. IDE 설치하기  (0) 2018.04.01

+ Recent posts